React Query, 정말 만능인가?
2025. 3. 29.
React Query, 정말 만능인가?
React Query - The Bad Parts by Dominik Dorfmeister 🔗React Query(현재는 Tanstack Query)를 다룬 많은 글 중에, Tanstack Query의 장점과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초점이 맞춰져있습니다. 이 발표에서는 Tanstack Query 단점들을 나열하며, 요구사항에 맞게 사용하는 법을 익혔으면 합니다. Next.js에서 Astro로 변경하기글이나, Redux 개발자의 React Context가 상태관리 도구가 아닌 이유도 비슷한 결을 띄므로, 이것 또한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. 글 버전도 추가되었습니다!
Dropdown의 숨겨진 요구사항들
Building a dropdown - Reshaped 🔗수많은 디자인 시스템에서 구현되어 있는 Dropdown에서 고려하는 요구사항들을 소개하는 글입니다. 구현 대신 디자인 시스템을 가져다 쓰는 것이 좋은 이유나, 보통 디자인 시스템 문서에서 무시되는 기능들을 알 수 있습니다.
Next.js, 꼭 필요한가요?
404 — Page not found 🔗물론 특이한 요구사항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, 경우에 따라서 Next.js가 필요 없을 수도, 혹은 SSR 또한 필요없을 수도 있습니다. Next.js의 단점에 치우쳐진 글이지만, 감안하고 볼만 한 글입니다.
Remix에서 보안 확인하기
Remix Security Checklist 🔗Remix에서 확인해야 할 보안을 설명하는 글이지만, 디펜던시, 환경변수 확인… 여러가지 요소는 다른 프론트엔드 어플리케이션에도 필요한 체크리스트들입니다.
긴 실행시간 쪼개기
Web Performance Calendar » Breaking Up with Long Tasks or: how I learned to group loops and wield the yield 🔗React에서 INP개선하기보다 간단하게, 그리고 일부만 소개하는 글이지만, Long Task의 개념을 알아보는데에는 좋습니다.
Static Hermes의 현재
x.com 🔗Static Hermes는 작년부터 소개된 JS를 빠르게 하기 위해 컴파일 JS로 바꿔주는 도구입니다(Static Hermes, RN을 더 빠르게 해줍니다). 아직 안정되기까지 시간이 걸리겠지만, ES6 지원 완료 등 기능 격차를 해소하고, 성능 향상또한 이루어지고 있으니, 지켜봐야겠네요.
KMP 알아보기
From Native to Multiplatform Development: Unpacking Kotlin and Compose | {callstack} 🔗React Native 개발자가 바라본 KMP를 소개하는 글입니다. KMP의 모든 것을 알 수는 없겠지만, 장단점을 비교해보기엔 좋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