GitHub RSS Feed
Home News About us

브라우저의 캐싱은 어떻게 진화했는가

2025. 3. 29.

브라우저의 캐싱은 어떻게 진화했는가

AddyOsmani.com - Double-keyed Caching: How Browser Cache Partitioning Changed the Web 🔗

기존의 브라우저의 캐싱 방식이 보안 문제로 인해 캐싱 방식을 바꾸게 되었습니다. 어떻게 바뀌었는지,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소개하는 글입니다. 모든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캐싱 전략에 대해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지 소개하므로, 꼭 보시길 바랍니다.

React Native 5년 사용 리얼 후기

Five years of React Native at Shopify – Shopify Engineering 🔗

Shopify에서 5년동안 모든 앱을 RN으로 마이그레이션을 마치면서 느낀 점들을 설명하는 글입니다. RN에 New Architecture과 Expo의 발전으로 더 주목할만하다고 생각합니다. 그렇기에 어떤 점이 좋은지, 주의해야 하는지 이 글에서 확인하세요.

Lighthouse 점수가 정말 UX와 관련 있을까?

You Might Not Have A Web Performance Problem | DebugBear 🔗

Lighthouse의 큰 문제는 로컬에서 시뮬레이션 한 결과이고, 실제 크롤러 봇이나 실제 사용자 환경에서는 다르게 작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. 왜 Lighthouse 점수만이 전부가 아님을 설명하는 간단한 글이지만, 여러 데이터를 측정해서 판단해야 함을 충분히 설명합니다. 성능 최적화 작업을 어필해야 하니까요.

번들러를 빌드 시스템 관점으로 분석하기

Build systems and bundlers · web-infra-dev · Discussion #24 · GitHub 🔗

빌드 시스템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, 그리고 JS의 번들러 라이브러리는 빌드 시스템 구성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어떻게 볼 수 있는지 소개하는 글입니다. Turbopack에서 어떤 개념을 통해 번들링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지 잘 소개합니다.

Core Web Vitals 지수를 넘어서 생각하기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8Unbv5MUQq0 🔗

성능 측정을 하게 되면 Core Web Vitals 점수를 바탕으로 생각하고, 어떻게 해야 점수를 많이 얻을 수 있을지 고민하는 것으로 출발하게 됩니다. 발표에서는 Core Web Vitals 점수 뒤에, 혹은 포함하지 않는 성능 최적화 요소들을 소개합니다. 몇 가지 요소는 자신이 만드는 어플리케이션의 내용과 연관지어야 할 수도 있으므로, 잘 조합하는게 중요합니다.

navigate(-1)은 옳은 구현일까

Maybe don't navigate(-1) in Remix/React Router — ProgrammingAreHard — 🔗

백 링크를 navigate(-1)로 구현하는 모습이 많은데, 이 구현이 상황에 따라 잘못되었음을 소개하는 글입니다.

useActionState에서 type safe 지키기

Make FormData and input names type-safe in React | Typeonce 🔗

React 19에서는 FormData를 쉽게 다룰 수 있는 useActionState을 추가했습니다. 하지만 react-hook-form과 같은 부가 기능이 부족합니다. 이 글은 TypeScript를 활용해서 type-safe하게 useActionState을 사용하는 법을 소개합니다.

React의 <ViewTransition>소개

Revealed: React's experimental animations API - Motion Blog 🔗

View Transition을 React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<ViewTransition>가 추가될 예정입니다. <ViewTransition>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소개하는 글입니다.

Micro Frontends, Server Components는 어떤 문제를 해결하려 했는가

Micro Frontends, Server Components and how these technologies can provide a paradigm shift with architectural changes in modern enterprise web app development - Webthesis 🔗

Micro Frontends와 Server Components가 어떤 맥락에서 나왔는지, 어떤 장단이 있는지와 현재 나온 구현체를 소개하는 논문입니다. 모든 구현체를 다루지는 않겠지만, 현재 어떻게 기술이 흘러가는지에 대해 살펴보기 좋은 논문입니다.

Node.js에서 TypeScript를 사용할 수 있다. 그전에

Vercel Security Checkpoint 🔗

Node.js에서 ts-blank-space 로직 기반으로 만든 네이티브 TypeScript 지원을 사용하기 전에 주의해야 할 점을 설명한 글입니다.

어떤 방식으로 접근성을 고려해야 하는가

Accessibility essentials every front-end developer should know by Martijn Hols 🔗

간단하게 접근성을 구현하고자 할 때 어떤 부분을 살펴봐야하는지 소개해주는 글입니다. 모든 접근성을 소개하는 글은 아니지만, 접근성을 높이는 작업을 시작할 때 좋은 글입니다.

새로운 친구들

ECMAScript feature: import attributes 🔗AsyncLocalStorage: Simplify Context Management in Node.js 🔗

비교적 최근에 구현된 import … with {}구문을 소개하는 글, Node.js의 AsyncLocalStorage를 소개하는 글입니다.

Yjs를 쉽게 배우기

Learn Yjs by Jamsocket 🔗

Yjs를 상호작용 UI과 함께 배울 수 있는 자료입니다.